메시아의 이름37 헤트(ח) - 하모르(חֲמוֹר): 당나귀(Donkey) 랍비 느헤미야는 이렇게 말한다. “‘소’는 요셉을 가리킨다. ‘그의 영광은 그의 수소의 첫 새끼 같으며’(신 33:17)라고 했기 때문이다. … 그리고 ‘나귀’는 메시아 왕을 가리킨다. ‘그는 겸손하사 나귀를 타시되’(슥 9:9)라고 했기 때문이다.” (Midrash Tanchuma B, Vayishlach 5)현대인의 귀에 ‘나귀’(chamor)라는 이름은 메시아에게 어울리지 않는 모욕처럼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성경적 관점에서 보면, 이 이름은 오히려 큰 찬사이다. 예를 들어, 야곱은 자신의 아들 잇사갈을 “건장한 나귀”(창 49:14)에 비유하며 축복하였다. 이 축복은 후에 잇사갈 지파가 지닌 독특한 예언적 재능으로 실현되었다(대상 12:33[32]).* 또한 나귀의 전설적인 지혜는 발람의 나귀 이.. 2025. 6. 16. 헤트(ח) - 하캄(חָכָם): 지혜로운 자(Wise) ‘지혜로운 자’—이것은 다윗의 아들 메시아를 가리키며, 이에 대해 ‘이제 그 안에 가난하지만 지혜로운 자가 있어서 그가 자기 지혜로 그 도시를 건졌도다. 그럼에도 아무도 그 가난한 자를 기억하지 아니하였도다.’(전 9:15)고 말한 것이다. (Zohar Chadash, Rut, 35b)메시아에게 주어진 이름 중 하나인 ‘지혜로운 자’(chacham)는 이사야가 메시아의 인격에 대해 묘사한 속성들에서 도출된다. “하쉠의 영이 그에게 머무니 지혜와 총명의 영, 계획과 능력의 영, 지식과 하쉠 경외의 영이다.”(사 11:2, 직역성경) 여기서 지혜의 속성은 이어지는 다음 구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의 기쁨은 하쉠 경외함에 있어 그의 눈에 보이는 대로 재판하지 않고 그의 귀에 들리는 대로 책망하지 .. 2025. 6. 12. 헤트(ח) - 히브라(חִיוְרָא): 나병환자(Laper) 그의 이름은 랍비의 집에서 비롯되어 ‘히브라’라 불린다. 이는 ‘우리는 그가 매를 맞고 하나님께 맞아 고난을 당한다고 생각하였노라.’(사 53:4)라는 구절에 근거한다. (b.Sanhedrin 98b)메시아에게 ‘나병환자’라는 이름을 부여하는 것은 다음 구절에 근거를 두고 있다. “참으로 그는 우리의 고통을 짊어지고 우리의 슬픔을 담당하였거늘 우리는 그가 매를 맞고 하나님께 맞아 고난을 당한다고 생각하였노라.”(사 53:4). ‘히브라(Chivra)’는 아람어로 ‘나병환자’를 뜻하며, 문자 그대로는 ‘하얀’을 의미하는데, 이는 이 병의 특징적인 색깔을 나타낸다. “보라, 미리암은 나병에 걸려 눈같이 희게 되었더라.”(민 12:10)라는 구절에서도 이 피부병의 색상이 언급된다. 비록 위 이사야 구절에 ‘히.. 2025. 6. 11. 자인(ז) - 제라(זֶרַע): 씨(Seed) 랍비 탄후마가 랍비 아바의 이름으로 말했다. ‘우리 아버지의 씨를 보존하자’(창 19:32)—여기서 ‘아들’이 아니라 ‘씨’라고 기록된 이유는, 이 씨가 다른 곳에서 올 것을 암시하기 위함이다. 그가 누구인가? 그는 메시아 왕이다. (Ruth Rabbah 7)메시아의 이름으로서 ‘씨’(זֶרַע, 제라)는 다음 구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라, 우리가 우리 아버지에게 포도주를 마시게 하고 우리가 그와 함께 누워 우리 아버지의 씨를 보존하자”(창 19:32). 일반적으로 번역에서는 ‘계통, 후손’(lineage)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히브리어 원문은 문자 그대로 ‘씨’라고 되어 있다. 아마도 번역자들이 문자적 표현을 피하는 이유는, 이 ‘씨’를 메시아와 연결짓는 것에 주저했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 2025. 5. 28. 자인(ז) - 즈룹바벨(זְרוּבָּבֶל): 스룹바벨(Zerubbabel) 솔로몬은 첫 번째 성전을 건축했고, 스룹바벨은 두 번째 성전을 건축했으며, 메시아 왕은 성전을 건축할 것이다. (Yalkut Shim'oni, Vayechi, par. 159)메시아의 이름으로서 스룹바벨(히브리어로 즈룹바벨, Zerubbavel)이라는 이름은 “주(יהוה)께서 스룹바벨에게 하신 말씀이 이러하니라. 이르시되, 힘으로 되지 아니하고 능력으로 되지 아니하며 오직 내 영으로 되느니라. 만군의 주가 말하노라.”(슥 4:6)라는 구절에서 유래한다. 스룹바벨은 다윗 왕의 후손인 여호야김의 자손이었다(대상 3:15). 따라서 다윗의 후손으로서 스룹바벨은 “잠재적 메시아”(potential Messiah)의 위치에 있는 인물로 간주된다.이러한 잠재성(potential) 때문에, 말빔(Malbim)은 다.. 2025. 5. 27. 자인(ז) - 자르(זָר): 이방인(Stranger) 주(יהוה)께서 브라심 산에서 일어나신 것 같이 일어나시고 기브온 골짜기에서 진노하신 것 같이 진노하사 자신의 일 곧 기이한 일을 행하시며 자신의 행사 곧 기이한 행사를 이루시리라. (사 28:21)메시아를 가리키는 이름으로서 ‘이방인’(자르, zar)이 유대 전통 자료에 명시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 개념 자체가 유대 전통에서 부재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유대교 맥락에서 ‘이방인’은 가장 일반적으로 비유대인(non-Jew)을 의미한다. 또한 ‘이방인’ 또는 영어로는 ‘외부인(outsider)’라는 표현은 레위 지파에 속하지 않은 다른 지파의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쓰인다(출 30:33). 따라서 ‘이방인’이라는 개념은, 어떤 이유로든 레위 지파나 유대 민족 및 종교 공동체에 .. 2025. 5. 26.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