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라(Torah)/라쉬의 토라 주석

라쉬 - 창세기 48장

by 베이트 미드라쉬 2025. 1. 15.

1 이 일들 후에 어떤 사람이 요셒에게 말하였다. "보십시오, 당신 아버지께서 편찮으십니다." 그가 그의 두 아들 므낫쉐와 에프라임을 데리고 갔다.

  • 어떤 사람이 요셒에게 말하였다: 여기서 “그”는 사자(전달자)를 의미하며, 이 구절은 생략된 형태로 쓰였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에프라임이 야곱과 함께 정기적으로 공부를 했고, 야곱이 고센에서 병이 들었을 때 에프라임이 이집트에 있는 그의 아버지에게 가서 이 사실을 알렸다는 것이다.
  • 그가 그의 두 아들을…데리고 갔다: 이는 야곱이 죽기 전에 그들에게 축복을 해 주길 바라서였다.

2 어떤 사람이 야아콥에게 전하여 말하였다. "보십시오, 당신 아들 요셒이 당신에게 오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힘을 내어 침대 위에 앉았다.

  • 어떤 사람이…전하여 말하였다: 즉, 사자가 “야곱에게” 알렸지만, 누가 알렸는지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생략된 형태로 쓰인 구절은 성경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이스라엘이 힘을 내어: 그는 말했다: “그가 내 아들이긴 하지만, 그는 왕이다. 그러므로 내가 그에게 존경을 표해야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왕족에게 존경을 표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모세 역시 왕족에게 존경을 표했는데, 그는 바로에게 “당신의 모든 신하들이 나에게 와서 [간접적으로 ‘당신’을 의미하며]”(출 11:8)라고 말했다. 엘리야도 이렇게 했다: “그가 허리를 동여매고 아합 앞에서 달려갔다.”(왕상 18:46)

3 야아콥이 요셒에게 말하였다. "전능의 하나님께서 크나안 땅 루즈에서 내게 나타나셔서 내게 복 주시고

 

4 말씀하셨다. '보라, 내가 너를 번성하게 하고 많게 하여 너를 민족들의 공동체로 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이 땅을 네 후손에게 영원한 소유로 줄 것이다.'

  • 내가…너를 민족들의 공동체로: 하나님은 내게 “민족”과 “공동체”가 내게서 나올 것이라고 알리셨다. 그리고 실제로 그는 내게 “한 민족[즉, 하나의 민족]과 민족들의 공동체[즉, 두 개의 더 많은 민족, 따라서 총 세 개의 ‘민족’(창 35:11)]”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한 민족”은 얼마 후 태어난 베냐민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민족들의 모임”은 베냐민 외에 두 민족을 뜻한다. 그 이후로는 내게 아들이 더 이상 태어나지 않았다. 하나님은 내 부족 중 하나가 둘로 나뉠 것을 암시하셨고, 이제 내가 너에게 두 부족이 되는 특권을 준다.

5 내가 미쯔라임으로 네게 오기 전에 미쯔라임 땅에서 네게 태어난 네 두 아들은 이제 내 것이다. 에프라임과 므낫쉐는 르우벤과 쉼온처럼 내 것이 될 것이다.

  • 네게 태어난: 이는 “내가 너에게 이르기 전에”를 의미하며, 즉 너를 떠난 후부터 내가 너에게 이르기까지 그들이 태어났다는 것이다.
  • 내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즉, 그들은 이스라엘 땅을 분배받을 때 내 다른 아들들과 함께 계산될 것이며, 각자 그에 상응하는 몫을 받을 것이다.

6 그러나 그들 다음에 네가 낳게 한 네 자손은 네 것이 되리니 그들 형제들의 이름은 그들의 유업 안에서 불릴 것이다.

  • 그들 다음…네 자손은: 만약 네게 더 많은 자녀가 태어난다면, 그들은 나의 아들들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며, 에프라임과 므낫세의 지파에 포함될 것이다. 그들은 이스라엘 땅의 상속과 관련하여 별도의 지파 이름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땅이 인구 수에 따라 나뉘었다는 것, 즉 “큰 지파에게는 더 큰 상속을 주어야 한다”(민 26:54)는 말처럼, 모든 사람이 동일한 몫을 받았으며 맏아들은 예외였다고 하더라도, 요셉의 아들들만이 이름으로 지파라 불렸다. 이는 땅을 분할할 때 제비뽑기, 각 지파의 지도자를 임명, 그리고 각 지파를 위한 깃발을 지정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7 내가 팓단에서 올 때 라헬이 도중에 크나안 땅에서 나를 두고 죽었는데 에프라타 조금 못 미치는 길에서 죽었다. 그래서 나는 거기 에프라타-그곳은 벨레헴이다.- 길에서 그녀를 묻었다."

  • 내가 팓단에서 올 때: 내가 너를 가나안에 묻히도록 수고롭게 하고 있지만, 네 어머니를 위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았음을 너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녀는 베들레헴 근처에서 죽었다.
  • 조금 못 미치는 길에서:  한 구획의 땅 - 즉, 땅의 측량 단위로, 샤밧에 도시 외곽에서 허용된 거리에 해당하는 약 2,000 큐빗이다. 이는 랍비 모세 하다르샨의 견해를 따른다. 내가 그녀를 헤브론으로 옮겨 묻지 않은 이유가 비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당시 건기가 이어지고 있었으며, 땅은 구멍투성이로 채워져 체(כְּבָרָה)처럼 보였다.
  • 그녀를 (거기에) 묻었다: 나는 그녀를 베들레헴 안쪽으로조차 옮기지 않았다. 내가 이렇게 한 것이 너의 마음에 불만을 남겼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녀를 그곳에 묻은 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이는 그녀의 후손들이 느부갓네살에 의해 추방될 때 그들을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들이 그 길을 지나갈 때, 라헬이 무덤에서 나와 서서 울며 하나님께 자비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성경에 이르기를: “높은 곳에서 들리는 소리… 라헬이 그녀의 자녀를 위해 울고 있다.”(렘 31:14) 거룩하신 하나님께서는 그녀에게 응답하셨다: “네 행위에 대한 보상이 있을 것이다, 하쉠의 말씀이다… 네 자손들이 그들의 경계로 돌아올 것이다.”(렘 31:15-16) 
  • 온켈로스는 כִּבְרַת אֶרֶץ כְּרוּב אַרְעָא라고 번역하며, 이는 하루 동안 쟁기로 갈 수 있는 땅의 양에 해당한다. 나는 사람들이 일정한 양, 즉 “하나의 밭고랑”이라고 불리는 양을 정해두었음을 유지한다. 이는 고대 프랑스어로 ‘caruede’라 불리며, 우리는 “그가 밭을 갈고 다시 간다(כָּרִיב וְתָנִי)”(Bava Metzia 107a)는 표현과, “여우가 밭에서 발로 긁어올리는 양(בֵּי כַּרְבָּא)”(Yoma 43b)과 같은 표현을 볼 수 있다.

8 이스라엘이 요셒의 아들들을 보고 말하였다. "이들이 누구냐?"

  • 이스라엘이 요셒의 아들들을 보고: 그는 그들에게 축복하기를 원했으나, 에프라임에게서 여로보암과 아합이, 므낫세에게서 예후와 그의 아들들이 태어날 운명이라는 이유로 하나님의 임재가 그를 떠났다.
  • 말하였다. “이들이 누구냐?”: 즉, “이들이 어디에서 왔는가? 이들은 축복받을 자격이 없는 자들이다.”

9 요셒이 그의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이곳에서 제게 주신 제 아들들입니다." 그가 말하였다. "내게로 좀 데려오너라. 내가 그들을 축복할 것이다."

  • 이곳에서: בָּזֶה는 또한 “이것을 통해”라는 의미도 가진다. 요셉은 야곱에게 자신의 약혼 계약서와 결혼 계약서를 보여주었다. 그런 다음 요셉은 이 문제에 대해 하나님께 기도했고, 성령이 다시 야곱 위에 임했다.
  • 야곱이 말했다. ”내게로 데려오면…축복할 것이다“: 이 구절에 대해 성경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에프라임을 인도했고, 그는 그들을 그의 팔에 안았다.”(호 11:3) 즉, 나는 에프라임을 위해 나의 영을 야곱에게 인도하여, 그가 에프라임과 므낫세를 그의 팔에 안을 때까지 그렇게 했다.

10 이스라엘은 나이 때문에 눈이 침침하여 볼 수 없었다. 그래서 요셒이 야아콥에게 그들을 다가가게 하니 야아콥이 그들에게 입 맞추고 그들을 안았다.

 

11 이스라엘이 요셒에게 말하였다. "네 얼굴을 보리라고는 내가 생각지도 못했다. 그런데 이제 하나님께서 네 씨도 나로 보게 하셨다."

  • 내가 생각지도 못했다: 즉, 나는 다시는 네 얼굴을 볼 수 있을 거라고 감히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이 동사는 생각하거나 의견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 “조언을 하고, 의견을 형성하라 (פְלִילָה).”(사 16:3)

12 요셒이 그의 무릎 사이에서 그들을 나오게 했다. 그리고 그는 얼굴을 땅에 대고 절하였다.

  • 요셉이…그들을 나오게 했다: 이스라엘이 그들에게 입을 맞춘 후, 요셉은 그들을 이스라엘의 무릎 사이에서 데리고 나와 에프라임을 이스라엘의 왼쪽에, 므낫세를 오른쪽에 놓아 이스라엘이 그들의 머리에 손을 얹고 축복할 수 있도록 했다.
  • 그는…절하였다: 그가 아버지 앞에서 물러설 때 한 행동이다.

13 요셒이 그들 둘 곧 에프라임을 자신의 오른손으로 이스라엘의 왼쪽에 므낫쉐를 자신의 왼손으로 이스라엘의 오른쪽에 데려가서 그에게 다가가게 하였다.

  • 에프라임을 자신의 오른손으로 이스라엘의 왼쪽에: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다가갈 때 그의 오른손은 상대방의 왼쪽과 마주하게 된다. 요셉은 장자인 므낫세가 축복을 받기 위해 이스라엘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하려 했다.

14 그러나 이스라엘은 자기 오른손을 내밀어 에프라임-그는 동생이다.- 머리 위에 놓고 그의 왼손을 므낫쉐 머리 위에 놓았다. 므낫쉐가 맏아들인데도 자기 손을 엇갈리게 놓았다.

  • 손을 엇갈리게 놓았다: 그의 손을 현명하게 놓았다. 온켈로스가 이를 번역한 것처럼, “그는 그의 손을 지혜롭게 만들었다 (אַחְכֵּימִנִּין לִידוֹהִי)”라는 의미이다. 즉, 그는 이 손동작을 의도적으로, 지혜롭게 움직였다. 그는 므낫세가 장자인 것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오른손을 므낫세에게 두지 않았다.

15 그리고 그가 요셒을 축복하여 말하였다. "내 조상 아브라함과 이쯔핰이 그 앞에서 걸어갔던 하나님, 내 어릴 때부터 이날까지 계속 나의 목자이신 하나님,

 

16 모든 악에서 나를 속량하신 천사께서 이 아이들에게 복 주십시오. 그들 안에서 내 이름이 불리게 하시고 내 조상 아브라함과 이쯔핰의 이름이 불리게 하시며, 그들이 이 땅 안에서 많이 불어나게 하십시오."

  • 나를 속량하신 천사께서: 즉, 내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항상 나에게 보내지는 천사를 의미한다. 예: “꿈속에서 하나님의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야곱아… 나는 벧엘의 하나님이다.’”(창 31:11, 13)
  • 이 아이들에게 복 주십시오: 즉, 므낫세와 에프라임을 축복하라는 뜻이다.
  • 불어나게 하십시오(וְיִדְגּוּ): 이는 물고기(דָּגִים)처럼 다산하고 번성하며, “악한 눈”의 영향을 받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17 요셒은 자기 아버지가 오른손을 에프라임 머리 위에 놓은 것을 보았는데 그것이 자기 눈에 악하였다. 그래서 아버지의 손을 에프라임의 머리 위에서 므낫쉐의 머리 위로 옮기려고 잡았다.

  • 아버지의 손을…옮기려고 잡았다: 즉, 요셉이 그의 아버지의 손을 에프라임의 머리에서 떼어 내고 자신의 손으로 받쳐 들었다.

18 요셒이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나의 아버지, 이 아이가 맏아들이니 당신의 오른손을 그의 머리 위에 놓으십시오."

 

19 그의 아버지가 거절하며 말하였다. "내가 안다, 내 아들아. 내가 안다. 그도 한 민족을 이루어 그도 크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의 동생이 그보다 크게 되어 그의 씨가 그 나라들을 채우게 될 것이다."

  • 내가 안다, 내 아들아. 내가 안다: 그가 장자인 것을 안다.
  • 그도 한 민족을 이루어…크게 될 것: 이는 기드온이 그의 후손으로 태어나게 되며,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그를 통해 기적을 행하실 것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그의 동생이 그보다 크게 되어: 이는 여호수아가 그의 후손으로 태어나 가나안 땅을 분배하고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가르칠 것이기 때문이다.
  • 그의 씨가 그 나라들을 채우게 될 것: 이는 기브온에서 태양이 멈추고 아얄론 골짜기에서 달이 멈출 때 여호수아의 명성이 온 세상에 퍼질 것을 의미한다.

20 그가 그날에 그들을 축복하였다. "너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너를 에프라임이나 므낫쉐같이 놓으실 것이다.' 하고 축복할 것이다." 그가 므낫쉐 앞에 에프라임을 놓았다.

  • 너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이…축복할 것이다: 이는 자식들을 축복하고자 하는 자가 에프라임과 므낫세의 축복으로 축복할 것이며, 각 자녀에게 “하나님께서 너를 에프라임과 므낫세처럼 되게 하시기를”이라고 말할 것이라는 뜻이다.
  • 에프라임을 놓았다: 에프라임을 앞세우며. 이는 축복에서 에프라임을 므낫세보다 앞세워, 행진 순서와 제단 봉헌에서 에프라임에게 우선권을 주기 위함이다.

21 이스라엘이 요셒에게 말하였다. "보라, 나는 죽는다. 하나님께서 너희와 함께 계셔서 너희 조상들의 땅으로 너희를 돌아가게 하실 것이다.

 

22 내가 네 형제들보다 한 산등성이를 더 네게 주니, 내가 에모리인의 손에서 내 칼과 내 활로 취한 것이다."

  • 내가…네게 주니: 이는 내가 너에게 가나안에 묻히도록 요청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너도 내가 묻힐 수 있는 몫을 받을 것임을 의미한다. 그것은 바로 세겜이다. 성경에 이르기를, “이스라엘 자손이 이집트에서 가지고 나온 요셉의 유해를 세겜에 묻었다”(수 24:32)고 기록되어 있다.
  • 네 형제들 보다한 (세겜) 산등성이를: 이는 세겜이라는 도시 자체를 의미하며, 너의 형제들보다 더 큰 몫으로 너에게 주어질 것이다.
  • 내 칼과 내 활로: 내 칼과 활로. 이는 시므온과 레위가 세겜의 사람들을 죽였을 때 주변 민족들이 싸우기 위해 모였고, 야곱이 그들에 맞서 무장했던 사건을 가리킨다. 또 다른 해석으로, שְׁכֶם אַחַד은 장자권을 의미하며, 요셉의 아들들이 두 몫을 차지하게 됨을 뜻한다. שְׁכֶם은 “몫”을 뜻하며, 온켈로스도 이를 그렇게 번역했다. 이는 성경의 여러 구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네가 그들을 나의 몫으로 두리라,”(시 21:13) “나는 몫을 나누겠다,”(60:8) “길에서, 그들이 몫을 죽였다,”(호 6:9) “그를 한 몫으로 섬기게 하리라.”(습 3:9)
  • 에모리인의 손에서: 이는 아모리인처럼 행동했던 에서에게서 빼앗은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해석으로, 에서가 הָאֱמֹרִי로 불린 이유는 그가 그의 아버지를 입으로 하는 말들(אִמְרֵי)로 속였기 때문이다.
  • 내 칼과 내 활로: 이는 야곱의 지혜와 기도를 상징한다.

'토라(Torah) > 라쉬의 토라 주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쉬 - 창세기 50장  (0) 2025.01.15
라쉬 - 창세기 49장  (0) 2025.01.15
라쉬 - 창세기 47장  (0) 2025.01.15
라쉬 - 창세기 46장  (0) 2025.01.15
라쉬 - 창세기 45장  (0) 2025.01.14